건축

Search: 309건

thumbimg

'2025 목재공간대전' 수상작, 경주 <치유의 집>... 보편성, 기능성, 혁신성을 통한 신개념 목건축
김수정 기자 2025.09.04
신라의 신성이 잠들어 있는 산, 중생의 기도가 불교의 정신에 맞닿아 있는 실존의 공간, 화강암 조각의 불상이 미래불로 부활한 땅. 부처의 나라가 되고자 했던 신라의 정신과 염원이 고스란히 현재화된 수미산이 바로, 경주 남산이다. 경주 ...

thumbimg

‘2025 목재공간대전’ 수상작, <지관서가 止觀書架>... 안동 지역민들을 위한 목재 복합문화공간
강진희 기자 2025.09.03
지역사회 복합문화공간 ‘지관서가’는 SK그룹의 지역 계열사가 시민의 행복한 삶에 기여하기 위해 제공하는 인문학 거점 공간을 일컫는다. 현재 전국 10곳이 개관했으며, 그 가운데 2024년 겨울 문을 연 안동시 지관서가는 ㈜SK바이오사 ...

thumbimg

‘2025목재건축대전’ 수상작, 제주 스테이 <조차>... 탄화된 바다에 이는 찰나의 질감
김수정 기자 2025.09.02
무심한 여행이 감각의 수행이 되는 경우가 있다. 공간을 에워싼 바다 풍경이 생각의 언어를 멈추게 하거나, 공간 속의 사물과 기운이 몸의 언어를 멈추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어차피 자연과 물질의 경계와 간섭에서 벗어날 수 없다. ...

thumbimg

'2025 목조공간대전' 수상작 제주 카페 <유지커피웍스>... 건축의 구조와 감각이 하나로 응축된 목재공간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9.02
마치 제주 자연의 원시성을 감지하듯 카페 유지커피웍스‘를 만난다. 건물 초입에 놓인 제주의 돌과 나무는 그들의 역사를 증명하는 당당하게 서 있다. 제주시와 근접한 오라이동은 완만한 경사의 대지 위로 낮은 바람, 음습한 공기, 땅의 층 ...

thumbimg

공간의 전이를 통해 감각의 교차를 꿈꾸는 공간, 신어지당(新語之堂)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9.01
공간의 출입문은 가시와 비가시의 세계로 나뉘는 감각의 교차점이었다. 입구의 좁은 통로는 조도가 거의 없는 어둠이 습지의 안개처럼 가득했다. 90도로 꺾인 코너에 장승처럼 서 있는 반사경은 내방객의 신원을 조사하듯, 날 선 자세로 고수 ...

thumbimg

영월 더 한옥헤리티지 <선돌정>... 한옥의 문화를 압축한 헤리티지 공간
김수정 기자 2025.08.26
태백시 외곽의 검룡소에서 출발한 한강의 발원지는 정선을 지나 영월에 이르면서 강물의 위세는 거칠어지고 형상도 위풍당당해진다. 한강의 물줄기는 동강과 서강으로 나뉘어 난맥을 형성하는 듯하지만, 결국에는 충주호를 거쳐 양수리에 이른다. ...

thumbimg

'2025 목조공간대전' 대상 수상작 < N작가주택>... 치밀한 디자인과 재료의 재구성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8.26
서울의 강북은 6~70년대의 후기 근대 주택건축이 단단하게 자리매김한 시대 건축의 이미지가 여전한 곳이다. 양옥이라는 이름하에 엇비슷한 건축이 도심에 마을을 이루었는데, 그 대표적인 곳이 연희동이다. 속칭 점잖은 분들이 많이 사는 동 ...

thumbimg

76명의 건축가가 이야기하는 <건축가가 지은 집 108>...건강한 집짓기를 위하여
전미희 기자 2025.08.24
주택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이들이 집을 짓기에 앞서 가장 먼저 드는 불안감은 비용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어떤 건축가를 만나 어떻게 집을 지어나갈 것인지 집짓기 과정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데에서 오는 두려움이다. 집짓기 ...

thumbimg

황제웅 치과 공간...자작나무가 흐르는 자리
전미희 기자 2025.07.28
가장 두려운 병원 치료를 고르라면 열에 아홉은 치과를 꼽을 것이다. 기계의 날카로운 소리와 치과 특유의 소독약 냄새는 치료를 기다리는 와중에도 환자를 두렵게 만든다. 황제웅 치과 스튜디오는 인테리어를 통해 치과가 사람들에게 주는 두려 ...

thumbimg

느티나무 병원 <주안내과>....공간이 주는 치유의 힘을 느끼다
전미희 기자 2025.07.28
병원 인테리어에서는 편안함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꼽힌다. 나무는 이러한 실내 분위기를 이끄는 데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소재다. 춘천에 자리 잡은 주안내과는 나무를 이용해 자연을 품 안에 들였다.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안정되는 ...

thumbimg

중목구조로 완성한 우드하우스
전미희 기자 2025.06.18
양평은 다른 지방에 비해 서울과 비교적 가까운 위치, 그럼에도 훼손되지 않은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북한강을 따라 도로를 달리다 보면 산등성이 사이사이로 점처럼 찍힌 주택이 보인다. 구불구불한 오르막길을 올라 양평 시내가 한눈 ...

thumbimg

공간의 재해석...달동네 골목에 대한 결례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6.11
비탈에 서서 ‘나는 비탈이지만 아이들은 곧게 자라고, 나는 비탈이지만 푸른 하늘이 사는 것의 기준이 된다.’ 사람이 숲을 이루고 살아 온 시간을 이곳에서 꼽을 이유는 없다. 누가 잠시 내어준 것뿐이다. 바람과 나무, 뭇짐승들과 이름 ...

thumbimg

[해외 목재공간] 빛의 변주가 울려 퍼지는 집, 코로하우스
김수정 기자 2025.06.10
어떤 조명보다 자연채광만큼 실내를 환하게 밝히는 것은 없다. 집을 고를 때에도 볕이 잘 드는지가 중요한 이유도 이것이다. 어느 한 일본 건축가는 햇볕의 기능을 단지 채광에만 두지 않았다. 창문으로 들어온 빛줄기가 그 사이사이로 쏟아져 ...

thumbimg

[BOOK] 건축가가 짓는 의자 이야기 <짓는 의자>...젊은 건축가들의 ‘의자’에 대한 사유
서바름 기자 2025.06.10
젊은 건축가 17인이 모여 ‘의자 짓기’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의자를 직접 만들며 건축에 대한 철학과 아이디어를 ‘의자’에 담아보고자 한 것이다.. <짓는 의자>는 그들이 프로젝트를 통해 의자를 완성하기까지 의자에 대해서 공부하며 정 ...

thumbimg

[해외공간] 공간을 이용하는 최적의 방법
박신혜 기자 2025.03.17
우리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벽을 세운다. 사실 세운 벽만큼 공간은 오롯이 사라진다. 이 아이러니를 벗어나기 위해 건축가 히로유키 다나카는 벽을 없애고 집안을 하얀 상자로 가득 채웠다.도쿄 메구로 구에 속한 유텐지는 일본의 ...

thumbimg

가회嘉會, 그 즐겁고 아름다운 만남... 한옥이 조화로운 ‘가회동성당’
유재형 기자 2025.03.17
성당은 하느님의 집인 동시에 그 백성이 공동체를 이루는 곳이기 게 이유다. 이곳을 설계한 오퍼스건축사사무소의 우대성 건축사는 관리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누구에게나 개방된 공간을 만들자는 취지에 합의된 공공의 건축을 표방했다고 설명했다. ...

thumbimg

[해외건축] 핀란드의 성 헨리 예배당...빛을 향해 걷다
김수정 기자 2025.03.17
핀란드 제2의 도시 트루쿠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작은 섬 히르반살로에 가면 독특한 모습을 한 예배당을 만날 수 있다. 성 헨리 예배당(St Henry’s Ecumenical Art Chapel)이다. 반드르르 윤이 흐르는 금속성 외 ...

thumbimg

[BOOK] 코바야시 타카시 <트리 하우스-나무 위의 집>...바람처럼, 때로는 새처럼 살고 싶다
오예슬 기자 2025.03.17
<트리 하우스-나무 위의 집>( 살림출판사)에 등장하는 나무집은 동남아시아에서 유럽, 미국, 일본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친자연적 건축물이다. 저자인 코바야시 타카시는 우연히 세계적인 트리 하우스 건축가 피터 넬슨의 ...

thumbimg

[신간 소개] 『나이층: 청파동 주택 리모델링 기록』...청파동 주택 90년의 수선 기록
김수정 기자 2025.03.05
책은 여러 가지 재료가 포개진 그 단면은 일본과 서구의 혼종으로 만들어진 이 집이 한반도의 풍토에 적응하며 살아온 시간의 층위이자, 삶의 과정을 보여준다. 나무가 한 해의 생존을 완수하며 성장의 시간을 기록한 나이테를 남기듯이 이 집 ...

thumbimg

솔트비가 하우스의 솔리드 오크와 더글라스 우드
강진희 기자 2025.02.19
솔트비가 하우스 곳곳에는 디네센의 단단한 오크 나무와 더글라스 나무가 많이 사용되었다. 노르웨이 남해안을 따라 위치한 이 집은 전부 목재를 사용해 지어졌다. 콜만 보예 아키텍츠가 설계한 이 집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자재를 사용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