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Search: 13건

thumbimg

[세상의 나무 ⑧] 유창목 최고급 수종을 누려라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4.10.31
나무에 귀천이 있을까마는 목재 시장에서 유창목은 고급 수종에서도 최고급에 속한다. 우아한 녹갈색 나뭇결과 향수의 원료로 쓰일 정도로 그윽한 향, 모든 나무를 능가하는 강고함까지 갖춘 나무의 귀족, 유창목을 만나보자.생소한 그 이름, ...

thumbimg

[세상의 나무 ⑦] 자작나무(Birch), 강하면서도 여린 목재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3.08.03
자작나무는 전 세계적으로 100여 종이 분포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한대 수종이라 추운 지역에서 잘 자라며, 북미 대륙은 물론 아시아, 스칸디나비아반도, 유럽, 러시아에 걸쳐서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와 함경도 지방 ...

thumbimg

[세상의 나무 ⑥] 너도밤나무(Beech), 유럽이 사랑한 나무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3.07.17
너도밤나무는 참나무과의 활엽교목이다. 음수에 속해 그늘을 좋아하며 생장속도가 늦지만 수명은 500년까지 살고 거목으로 자란다. 습한 환경을 좋아해 생장 환경만 잘 갖춰지면 키는 50m, 둘레는 2m까지 성장한다. 전 세계의 온대림과 ...

thumbimg

[세상의 나무 ⑤] 메이플(Maple), 다재다능한 가을의 전사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3.07.17
메이플은 공원과 도심의 가로수로 흔히 쓰여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친숙한 나무이다. 길바닥에 떨어진 단풍 나뭇잎을 주워와 책 사이에 꽂아 말리는 감성까지도 선물한다. 이뿐만 아니라 목재로써 쓰임이 다양해 악기나 가구가 되어 우리 ...

thumbimg

[세상의 나무 ④] 애쉬(Ash), 신화의 나무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3.06.22
결은 우드플래닛 / 육상수 칼럼니스트 ssyouk@woodplanet.co.kr는 누군가의 마음을 밀고 당기는 것처럼 나무를 만지는 사람들의 감성을 쥐락펴락한다. 목재로서 장점과 아름다움을 두루 갖췄지만 그만큼 다루기 까다로운 수종이 ...

thumbimg

[세상의 나무 ③] 느티(Zelkova), 천년의 나무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3.06.14
느티나무는 소나무와 함께 한민족을 상징하는 민족의 나무로 여겨진다. 천년을 견딘 부석사 무량수전의 기둥도 느티나무로 깎았다. 살아서 천년, 죽어서 다시 천년을 사는 견고함과 아름답고 우아한 무늬까지 나무가 갖춰야 할 모든 것을 갖췄다 ...

thumbimg

세상의 나무 ② - 오크(Oak), 문명을 품은 어머니 나무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3.06.02
‘나의 오크는 수백 년을 살리라. 이것이 아마도 내가 베푼 가장 큰 일이리라(버나드 쇼의 ‘오크나무(Oak Tree)’). 장수와 행운을 줄 것이라고 유럽인들이 믿었던 오크는 진정 아낌없이 주는 나무다. 목가구 제작에서도 월넛만큼이나 ...

thumbimg

세상의 나무 ① - 월넛 Walnut, 나무계의 중후한 신사,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3.06.02
그 자리에 있는 것만으로도 존재감이 있는 묵묵한 중년신사 월넛은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고 신뢰하는 목재다. 특히 나무를 다루는 우드워커들이 가장 인기 있는 수종이다. 월넛은 시간이 지날수록 처음의 화려한 암갈색은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면 ...

thumbimg

[숟가락 특집] 숟가락 아티스트, 다르지만 같다
편집부 2018.06.15
1. 크리스 한(Chris Han), 나무에 의한, 나무를 위한레진으로 장식된 자루, 동글게 옴폭 파이지 않고 길쭉하게 뻗거나 X자로 파여 있는 머리. 숟가락은 음식을 떠먹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일 뿐이라는 일반적인 상식을 보기 좋게 ...

thumbimg

[숟가락 특집2] 365 Spoon, 매일의 숟가락
김은지 기자 2018.06.15
365개의 숟가락은 노르웨이의 젊은 공예가 스티안 코른트브드 루드가 2014년 3월 27일부터 일 년 동안 진행한 ‘데일리 스푼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프로젝트의 원칙은 간단했다. 오로지 수공구만을 이용해 일 년 동안 매일 하나의 ...

thumbimg

[숟가락 특집2] 숟가락 촌(村), 먹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의미있다.
이현수 기자 2018.06.15
1. 이집트의 코스메틱 숟가락 (출처 : 대영박물관)고대 이집트에서는 음식을 먹을 때는 숟가락 대신에 빵을 이용해 음식을 떠서 먹었고, 숟가락 모양의 도구는 식사, 화장, 의료 등에 사용되었다. 대부분 숟가락은 상아, 부싯돌, 슬레이 ...

thumbimg

[숟가락 특집1] 왜 한국인은 숟가락으로 식사를 할까?
주영하 기자 2018.06.14
일본의 문화인류학자 이시케 나오미치는 세계 여러 민족의 식사도구를 소개하면서 손, 젓가락, 포크·스푼·나이프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몇 년 전 70세를 훌쩍 넘긴 이 노학자를 만난 나는 대뜸 물었다. “선생님도 한국을 여러 차 ...

thumbimg

8인의 디자이너가 제작한 펜던트 조명 프로젝트
배우리 기자 2018.05.21
① Plain Plan 강성 | 지구의 탄생묵직하고 꼼꼼한 작품을 주로 했던 목수의 작품이라고 하기에 조금 낯선, 가볍고 동그란 조명이다. 하지만 이 가벼워 보이는 작품도 강성 목수 특유의 집요함이 담겨 있다. 주름진 얇은 종이처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