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Search: 315건

thumbimg

북유럽 목조건축의 전통을 잇는 워터프론트 공동주택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10.19
노르웨이의 남부에 위치한 스타방에르는 바다를 끼고 있는 항구도시로,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곳이다. 특히 북유럽의 전통적인 목조건축물이 몰려 있는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스타방에르 구시가지에는 18~19세기에 지어진 목조건축이 도시 ...

thumbimg

[해외 주택] 숲이 된 집... 드넓은 숲 한 가운데 들어선 집은 자작나무와 하나가 되었다.
전미희 기자 2025.10.19
“자작나무는 저희들끼리건만 찾아든 이까지 하나로 만든다.” 고은 시인은 자신의 시 ‘자작나무 숲에 가서’에서 나무의 순수함과 정직함을 이야기했다. 헐벗은 몸으로 추위와 맞선 겨울나무는 세상의 타락과 무관하다. 그 위대함에 인간은 자연 ...

thumbimg

해외 유치원➂ 유치원은 아이의 또 다른 집이다
전미희 기자 2025.10.10
학교와 회사는 정해진 시간에 일하고 휴식을 취한다. 일률적이고 계획적인 시간의 배분은 개인이 가진 특성을 무시하기 마련이다. 반면 집은 자신의 리듬을 보호할 수 있는 곳이다. 식사 시간도, 수면 시간도 자신의 성향에 맞게 조율할 수 ...

thumbimg

해외 유치원➁ 패시브 유치원을 만나다
전미희 기자 2025.10.10
유치원이 들어선 부지는 지척에 호수가 있고 산과 들이 있는 곳이었다. 솔라시티의 설계를 맡은 오스트리아의 엑스 건축사무소(X Architeckten)는 면적이 넓으면서도 주위 경관을 해치지 않는 유치원을 만들고자 했다. 단층으로 이뤄 ...

thumbimg

해외 유치원➀ 아이들의 시선으로 완성하다
전미희 기자 2025.10.10
유치원은 어른이 만드는 곳이지만 아이들이 사용하는 공간이다. 그만큼 만드는 이의 생각보다 사용하는 이의 시선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 위치한 위성도시 위클(Uccle)에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탄생한 유치원 플뤼셰 ...

thumbimg

책 읽는 집은 언제나 아름답다... 책꽂이 건축 공긴
전미희 기자 2025.10.10
책 읽는 집 ➀ 기능을 담은 책꽂이... 영종도 북하우스에서 책꽂이는 수납장이, 집은 카페가 된다. 애서가(愛書家)인 이들의 꿈은 넓은 서재를 갖거나 높은 책장을 집 안에 설치하는 것이다. 하지만 막상 실행에 옮기자니 걱정이 앞선다. ...

thumbimg

'2025 목재공간대전' 수상작, 경주 <치유의 집>... 보편성, 기능성, 혁신성을 통한 신개념 목건축
김수정 기자 2025.09.04
신라의 신성이 잠들어 있는 산, 중생의 기도가 불교의 정신에 맞닿아 있는 실존의 공간, 화강암 조각의 불상이 미래불로 부활한 땅. 부처의 나라가 되고자 했던 신라의 정신과 염원이 고스란히 현재화된 수미산이 바로, 경주 남산이다. 경주 ...

thumbimg

‘2025 목재공간대전’ 수상작, <지관서가 止觀書架>... 안동 지역민들을 위한 목재 복합문화공간
강진희 기자 2025.09.03
지역사회 복합문화공간 ‘지관서가’는 SK그룹의 지역 계열사가 시민의 행복한 삶에 기여하기 위해 제공하는 인문학 거점 공간을 일컫는다. 현재 전국 10곳이 개관했으며, 그 가운데 2024년 겨울 문을 연 안동시 지관서가는 ㈜SK바이오사 ...

thumbimg

‘2025목재건축대전’ 수상작, 제주 스테이 <조차>... 탄화된 바다에 이는 찰나의 질감
김수정 기자 2025.09.02
무심한 여행이 감각의 수행이 되는 경우가 있다. 공간을 에워싼 바다 풍경이 생각의 언어를 멈추게 하거나, 공간 속의 사물과 기운이 몸의 언어를 멈추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어차피 자연과 물질의 경계와 간섭에서 벗어날 수 없다. ...

thumbimg

'2025 목조공간대전' 수상작 제주 카페 <유지커피웍스>... 건축의 구조와 감각이 하나로 응축된 목재공간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9.02
마치 제주 자연의 원시성을 감지하듯 카페 유지커피웍스‘를 만난다. 건물 초입에 놓인 제주의 돌과 나무는 그들의 역사를 증명하는 당당하게 서 있다. 제주시와 근접한 오라이동은 완만한 경사의 대지 위로 낮은 바람, 음습한 공기, 땅의 층 ...

thumbimg

공간의 전이를 통해 감각의 교차를 꿈꾸는 공간, 신어지당(新語之堂)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9.01
공간의 출입문은 가시와 비가시의 세계로 나뉘는 감각의 교차점이었다. 입구의 좁은 통로는 조도가 거의 없는 어둠이 습지의 안개처럼 가득했다. 90도로 꺾인 코너에 장승처럼 서 있는 반사경은 내방객의 신원을 조사하듯, 날 선 자세로 고수 ...

thumbimg

영월 더 한옥헤리티지 <선돌정>... 한옥의 문화를 압축한 헤리티지 공간
김수정 기자 2025.08.26
태백시 외곽의 검룡소에서 출발한 한강의 발원지는 정선을 지나 영월에 이르면서 강물의 위세는 거칠어지고 형상도 위풍당당해진다. 한강의 물줄기는 동강과 서강으로 나뉘어 난맥을 형성하는 듯하지만, 결국에는 충주호를 거쳐 양수리에 이른다. ...

thumbimg

'2025 목조공간대전' 대상 수상작 < N작가주택>... 치밀한 디자인과 재료의 재구성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8.26
서울의 강북은 6~70년대의 후기 근대 주택건축이 단단하게 자리매김한 시대 건축의 이미지가 여전한 곳이다. 양옥이라는 이름하에 엇비슷한 건축이 도심에 마을을 이루었는데, 그 대표적인 곳이 연희동이다. 속칭 점잖은 분들이 많이 사는 동 ...

thumbimg

76명의 건축가가 이야기하는 <건축가가 지은 집 108>...건강한 집짓기를 위하여
전미희 기자 2025.08.24
주택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이들이 집을 짓기에 앞서 가장 먼저 드는 불안감은 비용에 대한 문제일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어떤 건축가를 만나 어떻게 집을 지어나갈 것인지 집짓기 과정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데에서 오는 두려움이다. 집짓기 ...

thumbimg

황제웅 치과 공간...자작나무가 흐르는 자리
전미희 기자 2025.07.28
가장 두려운 병원 치료를 고르라면 열에 아홉은 치과를 꼽을 것이다. 기계의 날카로운 소리와 치과 특유의 소독약 냄새는 치료를 기다리는 와중에도 환자를 두렵게 만든다. 황제웅 치과 스튜디오는 인테리어를 통해 치과가 사람들에게 주는 두려 ...

thumbimg

느티나무 병원 <주안내과>....공간이 주는 치유의 힘을 느끼다
전미희 기자 2025.07.28
병원 인테리어에서는 편안함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꼽힌다. 나무는 이러한 실내 분위기를 이끄는 데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소재다. 춘천에 자리 잡은 주안내과는 나무를 이용해 자연을 품 안에 들였다. 방문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안정되는 ...

thumbimg

중목구조로 완성한 우드하우스
전미희 기자 2025.06.18
양평은 다른 지방에 비해 서울과 비교적 가까운 위치, 그럼에도 훼손되지 않은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북한강을 따라 도로를 달리다 보면 산등성이 사이사이로 점처럼 찍힌 주택이 보인다. 구불구불한 오르막길을 올라 양평 시내가 한눈 ...

thumbimg

공간의 재해석...달동네 골목에 대한 결례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6.11
비탈에 서서 ‘나는 비탈이지만 아이들은 곧게 자라고, 나는 비탈이지만 푸른 하늘이 사는 것의 기준이 된다.’ 사람이 숲을 이루고 살아 온 시간을 이곳에서 꼽을 이유는 없다. 누가 잠시 내어준 것뿐이다. 바람과 나무, 뭇짐승들과 이름 ...

thumbimg

[해외 목재공간] 빛의 변주가 울려 퍼지는 집, 코로하우스
김수정 기자 2025.06.10
어떤 조명보다 자연채광만큼 실내를 환하게 밝히는 것은 없다. 집을 고를 때에도 볕이 잘 드는지가 중요한 이유도 이것이다. 어느 한 일본 건축가는 햇볕의 기능을 단지 채광에만 두지 않았다. 창문으로 들어온 빛줄기가 그 사이사이로 쏟아져 ...

thumbimg

[BOOK] 건축가가 짓는 의자 이야기 <짓는 의자>...젊은 건축가들의 ‘의자’에 대한 사유
서바름 기자 2025.06.10
젊은 건축가 17인이 모여 ‘의자 짓기’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의자를 직접 만들며 건축에 대한 철학과 아이디어를 ‘의자’에 담아보고자 한 것이다.. <짓는 의자>는 그들이 프로젝트를 통해 의자를 완성하기까지 의자에 대해서 공부하며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