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1건

thumbimg

모스(m+oss)가 알려주는 <페인트 인테리어 A to Z>... 인테리어 초보를 위한 페인트 테크닉
편집부 2025.09.28
인테리어를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 중 많은 사람이 간과하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벽’이다. 공간의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벽에 약간의 변화만 생겨도 분위기는 180도 달라진다. 하지만 분위기를 바꿔보겠다고 시즌마다 새로 도배할 ...

thumbimg

하신혁의 기물 — 시간을 빚어 쌓은 침묵의 풍경
편집부 2025.09.25
자연의 흙은 인류의 손끝을 타고 수천 년간 다양한 형태의 이야기로 전해져 왔다. 하신혁의 작업은 이 원초적 재료 위에 시간을 쌓아 올리는 손끝의 서사이자, 고요 속에 깃든 풍경이다. 그에 작업에서 처음 다가오는 것은 적막에 가까운 고 ...

thumbimg

흙-몸의 흔적들 : 쉬용쉬(徐永旭)의 도자 조각(Ceramic Sculpture)
편집부 2025.08.24
쉬용쉬(徐永旭, b.1955)는 타이완의 대표적인 도자 조각가다. 2021년에는 타이완 도자예술계에서 가장 영예로운 상인 ‘타이완 도예상’(신베이시 잉거도자박물관 주최) 우수상(Award for Excellence)을 수상하였으며, ...

thumbimg

김남두 개인전 《언더랜드: 황금망원경》...신기루를 좇는 현대인의 열망
편집부 2025.08.15
김남두는 13년이 넘는 시간 동안 ‘순응(conformity)’과 ‘획일성(uniformity)’이라는 주제를 집요하게 탐구해왔다. 그는 유리, 도자, 혼합 재료를 조형 언어로 삼아, 우리가 일상 속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가치 체계 ...

thumbimg

사라진 것을 기억하는 방식, 예술로 큐레이션하다...《봄: 머무는 자리, 남겨진 시간》 전
편집부 2025.06.20
사라진 것들은 정말로 사라진 것일까. 보이지 않지만 여전히 감각되는 것들, 지나간 자리에 남겨진 흔적들을 예술은 어떻게 포착하고 담아낼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한 전시 《봄: 머무는 자리, 남겨진 시간》에 많은 관객이 방문하 ...

thumbimg

이정훈 개인전 ...사소한 존재의 물질적 공간 질료
편집부 2025.06.10
‘존재(存在)는 존재 이전의 존재로 말미암아 존재한다.’ 동양 철학의 바탕인 성리학은 모든 존재의 이치를 이기론(理氣論)에 함축한다. 이(理)는 사물의 존재와 생성 이전의 이치를 뜻하며 소리, 냄새, 부피, 겉과 속, 정의, 헤아림, ...

thumbimg

<인터뷰> 가구의 쓰임에 기본을 다하는 목수, 신성현
편집부 2025.05.31
“보리공방에서 만들어지는 가구는 반드시 쓰이는 가구가 되길 바란다”우드플래닛(이하 우): 교육 공방으로 소개된 보리공방을 우드플래닛에서 본 적이 있다. 교육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신성현(이하 신): 교육은 작년부터 시작했다. 그동안 ...

thumbimg

이태리 독보적 작가 살보, 국내 최초 개인전 《Salvo, in Viaggio》...독창적인 시각 언어로 세계적인 주목 받아
편집부 2025.05.29
이탈리아의 대가 살보(Salvo, 1947-2015)의 회화를 선보이는 개인전 《Salvo, in Viaggio》를 오는 5월 29일부터 7월 12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살보의 국내 첫 개인전으로 작가가 중동, 북아프리카, 유 ...

thumbimg

다시 보는 나전(螺鈿)...종류와 전통기법의 비밀
편집부 2025.05.23
나전은 우리의 것 중에 가장 주목해야 할 귀한 부분이다. 그러나 부족한 너무 점이 많다. 그중에서도 가장 부족한 점은 실물 자료의 확보 부족과 그 연구 진행 등을 들 수 있다.나전의 종류나전의 이해 편의를 위해 그 종류를 세 가지로 ...

thumbimg

조선의 가구, 북유럽의 가구
편집부 2025.04.21
어느 때보다 북유럽 가구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사용자를 배려하면서도 친환경적이어서 심플하면서도 감성적인 공간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취향과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 한국 목가구는 순박한 디자인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는 심성이 ...

thumbimg

건축을 위한 책 <빨간 도시>...따갑고 따뜻한 반성의 건축
편집부 2025.01.08
직업은 사람의 시야를 바꿔놓는다. 혹은 전문 분야를 통해 특정한 시야가 발달한다. 아는 게 많을수록 보이는 게 많다는 것이다. 건축가 서현은 2004년 북한 용천역에서 폭발사고가 났을 때, 현장을 뉴스로 확인한 의사의 눈은 다친 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