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집트의 코스메틱 숟가락 (출처 : 대영박물관)
고대 이집트에서는 음식을 먹을 때는 숟가락 대신에 빵을 이용해 음식을 떠서 먹었고, 숟가락 모양의 도구는 식사, 화장, 의료 등에 사용되었다. 대부분 숟가락은 상아, 부싯돌, 슬레이트와 나무로 만들어졌다. 지금까지 역사적 기록에 남아있는 이집트의 숟가락은 코스메틱 숟가락인데, 실용적인 의미 그 이상으로 종교적 상징이 담겨 있다. 이국적인 디자인을 가진 코스메틱 숟가락은 고대 이집트의 제사장들과 파라오의 소유였고 상당수가 보존되어 수집가들과 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2. 스위스의 부엌용 숟가락 (출처 : Ch?teau de Chillon)
중세 유럽의 숟가락은 목재, 금속, 동물 뼈를 포함해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금이나 은으로 만든 스푼은 가지고 있어도 토지를 가지고 있는 것과 비슷한 부를 상징해서 가치가 높았다. 그래서 금, 은 숟가락은 왕실이나 귀족들이 많이 사용을 했다. 반대로 서민은 실제로 음식을 먹고, 만드는 것에 가장 소비하기 쉬운 재료는 나무였기 때문에 나무 숟가락을 자주 썼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나무 숟가락은 식사를 할 때도 잘 사용되지 않았고, 요리를 할 때 많이 사용되었다.
3. 러시아의 서민이 만든 숟가락 (출처 : Лобачев Владимир)
4. 케냐의 야생동물 숟가락 (출처 : 대영박물관)
6. 노르웨이의 러브 스푼 (출처 : Jongleur100)
스칸디나비아에서 17세기부터 사랑의 상징이 되는 장식을 숟가락에 새겨 넣었는데, 그것을 러브 스푼이라고 부른다. 장식 별로 의미가 다른데, 체인은 영원히 함께하자는 의미가 있고 다이아몬드는 부와 행운을 의미한다. 십자가는 믿음을, 꽃은 애정을 상징한다. 이러한 러브 스푼은 예부터 남성이 여성에게 프러포즈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는데 그 세리머니는 동유럽에서 그치지 않고 점차 유럽의 곳곳에 유행처럼 번져가 발렌타인데이나, 생일선물, 크리스마스 선물로도 러브 스푼을 주고 받게 되었다.
7. 터키의 숟가락 악기 (출처 : Holzloeffeltanz-Kasiklar)
회양목으로 만든 숟가락 악기는 캐스터네츠와 비슷한 소리를 내는 타악기다. 약지와 검지에 각각 한 개씩의 숟가락을 끼워 넣거나, 양손에 하나씩 숟가락을 쥐는 방식으로 두드리면 된다. 숟가락 악기의 연주가 시작되면 특유의 흥겨운 음이 나오기 때문에 그 음에 맞춰 많은 사람이 일어나 함께 춤을 춘다. 터키 이외에도 러시아, 미국, 영국 등에서 숟가락 악기를 연주하고 있으며, 연극법은 다양하나 많은 사람의 흥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는 그 의미가 같다.
8. 인도의 자 숟가락 (출처 : 대영박물관)
인디언들은 나무 숟가락을 만들 때 직접 나무를 구해서 깎아 만든다. 그래서 나무 숟가락을 만드는 것은 당시 영국 식민지였던 인디언들이 자유 의지로 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위였다. 인도 나무 숟가락은 대부분 월계수 나무나 아스펜 등의 나무를 많이 사용했다. 당시에는 나무 숟가락은 부자부터 가난한 자들까지 모두가 사용하는 필수품이었다. 손으로 먹는 식문화가 발달 된 인도는 숟가락이나 포크를 사용하는 것을 싫어했지만, 요리할 때는 숟가락을 사용하기도 한다.
9. 필리핀의 쌀 숟가락 (출처 : 대영박물관)
필리핀 이푸가오 주에 거주하는 장인들이 만든 나무 숟가락은 세계적으로 ‘아름다움과 종교적인 의미를 생필품에 담아내었다는 것이 아주 놀라운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숟가락 자루에는 지역의 신 또는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의 형상을 새겨서 실생활 도구 그 이상의 가치를 담기 위해 애썼다. 옛날에는 솥에서 삶은 고기를 꺼내기 위해서 숟가락을 많이 사용했지만, 밥을 긁어서 먹는 식습관이 정착되고 난 후부터 숟가락을 식사 도구로 쓰기 시작했다.
[저작권자ⓒ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