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여 년 시기별 주요 조각 작품 10점과 사진, 영상, 설치 등 총망라한 작품 70여 스튜디오 사진 연작 및 다큐멘터리
- 24월 311일(금)부터 57월 1443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국립현대미술관·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공동주최
![]() |
▲ 어두운 장소, 2018, 혼합 재료, 140 × 90 × 75 cm. ZAMU. |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현대 조각의 세계적 거장 《론 뮤익》전을 4월 11일부터 7월 13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프랑스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과 공동주최하는 전시는 호주 출신 조각가 론 뮤익(b.1958)의 작품세계 전반을 조망하는 아시아 최대 규모 회고전이다.
30여 년 동안 꾸준히 새로운 작품을 발표하며 놀라움을 선보여 온 작가 론 뮤익의 시기별 주요 작품을 총망라하여 소개하고, 이를 통해 현대 조각의 흐름과 변화의 궤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이다. 그의 창작 시기를 대표하는 조각 작품들과 함께 스튜디오 사진 연작과 다큐멘터리 필름 두 편 등 총 24점을 소개한다.
![]() |
▲ 배에 탄 남자, 2002, 혼합 재료, 159 × 138 × 429 cm. 개인 소장. |
![]() |
▲ 나뭇가지를 든 여인, 2009, 혼합 재료, 170 × 183 × 120 cm.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컬렉션. |
론 뮤익은 조각 매체의 재료, 기법, 표현 방식 등 다양한 방면에서 조각 장르의 확장을 이끌어내며, 현대 조각의 경계를 새롭게 정의해 왔다. 실제보다 더 진짜같은 론 뮤익의 조각적 테크닉과 표현력은 그의 인간에 대한 통찰과 철학적 사유에 기반해 현대인이 일상 속에서 느끼는 외로움, 취약함, 불안감 같은 내면의 감정과 존재론적 성찰을 담아낸다.
《론 뮤익》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의 5, 6전시실에서 선보인다. 5전시실에서는 1998년 첫 소개된 <유령>(1998/2014)과 그간 좀처럼 보기 힘들었던 <젊은 연인>(2013)을 비롯하여, 실제 크기의 약 4배인 작가의 자화상 <마스크 II>(2002), 암탉과 중년의 남성이 마주하여 팽팽한 공기를 만들어내는 <치킨 / 맨>(2019), 침대에 누운 거대한 인물로 가로 6미터가 넘는 대형 작품 <침대에서>(2005) 등을 선보인다.
![]() |
▲ 마스크 II, 2002, 혼합 재료, 77 × 118 × 85 cm. 개인 소장. |
전시장은 출품작 한 작품 한 작품씩 관람객들로 하여금 몰입을 끌어낼 수 있도록 구성했으며, 작가의 주요 작품과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작품 <매스>(2016-2017)도 소개한다. 이 작품은 오늘날 전쟁, 전염병, 기후 위기, 자연재해 등 재난이 일상이 된 시대를 살아가는 인류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작가는 국립현대미술관이 자리 잡은 위치의 역사적인 의미와 미술관의 건축적 특징을 고려하여 특별한 설치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새롭고 경이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한다.
6전시실에서는 그동안 잘 볼 수 없었던 작가의 창작 과정과 예술가로서의 삶과 내면을 엿볼 수 있는 시각예술가 고티에 드블롱드(Gautier Deblonde)의 작업실 사진 연작, 그리고 다큐멘터리 두 편을 선보인다.
![]() |
▲ 유령, 1998_2004, 혼합 재료, 202 × 65 × 99 cm. 야게오 재단 컬렉션. |
론 뮤익의 작품은 실제 사람보다 더 사람같은 외형을 단순히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게 하며 시대의 자화상을 마주하게 만든다. 그의 작업은 수개월, 때로는 수년 간의 과정으로 완성되는데 이는 빠르고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예술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작품은 일종의 ‘시대 저항’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그의 작품은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질문과 함께 관객을 성찰의 자리로 이끌며, 우리가 현실 세계에서 실재하고 있다는 감각과 그 의미를 깨닫게 한다.
![]() |
▲ 스틸 라이프_작업하는 론 뮤익, 고티에 드블롱드 각본 및 감독, 2013. ⓒ 고티에 드블롱드. |
[저작권자ⓒ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