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이 축적되는 감각되는 경험 유도
7월 5일부터 7월 24일까지 Hall 1에서 설고은 작가의 개인전《Cracks, Ripples, and What Not》展이 열린다. 2025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 지원사업 선정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총 53점의 대형 드로잉과 17점의 신작 회화로 구성되며, 전통적인 회화 감상 방식에서 벗어난 배치로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 |
▲《Cracks, Ripples, and What Not》 설고은 전시 포스터 |
설고은 작가는 2024년 9월부터 2025년 6월까지 베니스, 서울, 광주 등 여러 도시에서 벽면의 균열, 도로의 틈, 부식된 페인트, 자연에 의한 침식 등 물리적으로 남겨진 흔적들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김진주 큐레이터는 "설고은은 상실을 떠올리게 한 건물, 바닥, 돌, 나무 등 거리 곳곳의 흔적들을 사진으로 찍고 디지털 툴로 편집해 단순화한 뒤, 이를 각각의 '층(layer)'으로 만들었다”며 ”출처와 모양이 다른 층들은 트레이싱지를 경유해 겹치고 겹쳐 하나의 화면이 되었으며, 그 화면들은 다시 바닥과 벽을 점유하며 모종의 사건처럼 모였다.“라고 설명했다.
![]() |
▲ 설고은, rumbling sound of the creek, 캔버스에 아크릴과 모델링 페이스트, 50x50cm, 2024 |
작가는 “이번 전시는 한 개인의 역사에서 빛나는 순간이 지나가고 나서 삶은 어떻게 이어지는지, 우리는 지나쳐온 시간을 어떻게 회고해야 하는지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에서부터 출발한다"라며 이번 전시의 의미를 전했다.
전시는 7월 24일까지 Hall 1에서 열린다.
![]() |
▲ 전시 전경 |
・설고은: 1994년 출생으로, 시카고 대학교에서 경제학과 시각예술을 전공하였으며 2021년 서울대학교 서양학과 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2024년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 개인전 ≪NO POINT OF CONTACT≫와 2022년 스펙트럼 갤러리에서 개인전 《AFTER, IMAGE》을 열었으며, 《계란부터 사과까지》(2023, 신한갤러리), 《원본없는 판타지》(2023, 온수공간), 《물질구름》(2022, 아트스페이스3) 등 주요 단체전에 참가했다. 현재 광주시립미술관 국제레지던시에 작가로 입주해있다.
[저작권자ⓒ 우드플래닛.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