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

Search: 291건

thumbimg

서울공예박물관, 국내 최초·최대 규모 불교 자수공예 특별전 열어
강진희 기자 2025.05.01
서울공예박물관이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불교 자수공예 특별전 <염원을 담아 – 실로 새겨 부처에 이르다>를 개관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1978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출품 이후 47년간 공개되지 않았 ...

thumbimg

조선의 가구, 북유럽의 가구
편집부 2025.04.21
어느 때보다 북유럽 가구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사용자를 배려하면서도 친환경적이어서 심플하면서도 감성적인 공간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취향과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 한국 목가구는 순박한 디자인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는 심성이 ...

thumbimg

코리안 헤리티지 브랜드 <채율>...전통의 명품화를 위한 노력
송은정 기자 2025.04.21
전통의 이름을 빌려 그 무늬와 선을 그럴듯하게 흉내 낸 제품들은 이미 수두룩하다. 소비자들이 더는 전통이라는 콘텐츠에 특별한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다. 이에 맞서 채율은 옻칠과 칠보를 ‘신의 한 수’로 두었다. 장인의 손길을 거친 ...

thumbimg

전통공방 농암예가...예를 담는 찻상
박신혜 기자 2025.04.07
중요한 건 형식이 아닌 정신이다. 농암 박봉규 선생은 차(茶)를 예로 알고 다도(茶道)를 따른다. 정성으로 빚어내는 찻상은 그만큼 고운 결을 가졌다.36년 전, 농암 선생은 밥상 다리를 나지막하게 잘라 첫 찻상을 만들었다. 차 맛이 ...

thumbimg

연출력 돋보인 전시, 《적선(積善)하다》_ ‘빛’과 ‘시간’을 매개로 선함을 전하면서 10일간의 전시 마쳐
김수정 기자 2025.04.04
내사(內思)와 좌망(坐亡)의 실천철학이자 사물을 몹시 아끼는 품성을 뜻하는 적선(積善)은 변화하는 삶 속에서 진리를 밝히기 위해 무아의 경지에 들어가는 또 하나의 세계이자 이데아다.사진과 도자를 매개로 펼친 전시 《적선(積善)하다》가 ...

thumbimg

도예작가 김성철 전시 《적선(積善)하다》...흰 호롱도자를 비추는 자기 불꽃의 선
김수정 2025.03.25
전시 그룹 아엘시즌(AL_SEASON)·일엽편주의 공동 주관으로 성곡미술관 2관에서 한국인의 삶의 철학인 ‘적선(積善)’을 주제로 전시를 개최한다. 《적선(積善)하다_빛으로 그린 어진 마음, 사물을 이루고》는 한국 사진의 정점에 서 ...

thumbimg

[Book] 마틴 슐레스케 <가문비나무의 노래>...잊히지 않는 카이로스를 위하여
박신혜 기자 2025.03.17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의미 없이 그저 흘러가는 시간을 ‘크로노스(Chronos)’라 하고 특별한 의미가 담긴 시간을 ‘카이로스(Kairos)’라 했다. 독일의 바이올린 마이스터 마틴 슐레스케 역시 악기를 만질 때마다 카이로스의 순간을 ...

thumbimg

앨버트 잭슨·데이비드 데이 <아름다운 목가구 만들기>...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의 확실한 차이
박신혜 기자 2025.03.17
우리의 모든 것은 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너무 당연하기 때문에 알아채기 전까지는 나무라는 존재를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일단 그를 인식하게 되면, 언제나 그 자리에 있는 나무의 위치를 발견하기만 하면 허투루 보고 넘길 수 없게 된다. ...

thumbimg

한국 공예, 세계 3대 아트페어 ‘2025 TEFAF 마스트리흐트’에 참가
김수정 기자 2025.03.11
더페이지 갤러리는 ‘아트바젤 ART BASEL’, ‘프리즈 FRIEZE’와 함께 세계 3대 아트페어로 불리는 ‘테파프 TEFAF’에 한국 고미술과 현대미술로 참여한다.‘모던 & 컨템포러리 아트’ 섹션에 참여하는 작가는 최명영, ...

thumbimg

동글동글 목각인형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2.17
‘코케시’는 일본 동북지방을 대표하는 전통 인형으로, 일본 에도시대 말기에 동북지방 온천에서 처음 판매되기 시작했다. 눈이 많이 오는 동북지방에는 대나무밖에 없어서 대나무를 깎아 인형의 몸통을 만들었다.코케시가 언제나 일본에만 있는 ...

thumbimg

[나무를 읽다] 느티나무...나무가 갖춰야 할 모든 것
김수정 기자 2025.02.17
천년을 견딘 부석사 무량수전의 기둥은 느티나무였다. 천년을 가는 견고함과 아름답고 우아한 무늬까지 나무가 갖춰야 할 모든 것을 갖췄다는 ‘나무의 황제’ 느티나무를 만나보자. 느티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다. 20 ...

thumbimg

어느 60대 목수의 느린 연장
이인혜 기자 2025.02.17
홍성익 목수의 유년시절은 서울 한남동에서 시작되었다. 황해도 사람이었던 아버지는 당시 피난민들이 모여 살았던 한남동에서 제재소를 운영했다. 동네 한가득 판자촌이 즐비했지만, 홍성익 목수의 집은 꽤 부유했다고 한다. 제재소를 운영한다는 ...

thumbimg

중요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이수자 양석중... ‘큐레이터적인 소비’를 부르는 조선의 가구
유재형 기자 2025.02.11
<오래된 미래>의 작가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는 서구문명에 의해 파괴된 가치의 단절을 복구하고자 전통의 되새김을 제안했다. 히말라야 아래 라다크인들은 그들의 방식으로 살 때 가장 행복했음을 저생산체계 구축과 느림의 철학이 입증했다.우리 ...

thumbimg

그대는 왜 촛불을 켜셨나요?
유재형 기자 2025.01.29
인물 촛대 제품들은 스웨덴 목공예학교에서 수학한 용준 작가가 스웨덴에서 제작을 주문 받아 만든 것이다. 한정판으로 제작한 이 작품은 초에 불이 켜지면 각양각색의 얼굴들도 동시에 빛으로 조각된다. 전적으로 수작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제품 ...

thumbimg

석기시대에서 찾은 현대...시원의 울림 [빗살*햇살], 임광순 아트퍼니처
유재형 기자 2025.01.29
아트퍼니처의 기원을 찾자면 신석기인들의 빗살무늬토기가 아닐까. 장식적인 질박미가 예술적 표현방식을 따르고 있다는 생각. 임광순 작가는 예술적 표현 요소를 주제로 한 다양한 목 조형활동과 학술 활동을 펼쳐왔다. 또 한국 전통미를 통해 ...

thumbimg

임서윤 <백(白)의 면모-White on White>...과거와 현재의 시간적 관계를 탐구
강진희 기자 2024.12.18
임서윤은 백색 직물의 다층적 공간감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작가다. 흰색의 여백과 담백함 속에서 자연의 무형적 요소들인 빛, 바람, 공기를 시각화하고, 그 변화와 흐름 속에서 인간과 자연이 교감하는 순간을 시 ...

thumbimg

가장 모던한 옻칠
강진희 기자 2024.12.15
옻칠도 모던해질 수 있다. ‘한국의 고급 문화를 재발견 하는 고급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를 그치로 내건 하이픈프로젝트는 옻칠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다양한 생활 소품을 선보인다. 이들이 전통 공예 기법을 응용해 손수 만든 아이 ...

thumbimg

[book] 강판권 <세상을 바꾼 나무>...역사는 나무 그늘 아래서 이루어졌다
김수정 기자 2024.11.29
역사가는 나름의 시각으로 팩트를 정의하고 평가하며 역사를 기록한다. 소금장수는 소금의 역사로, 대장장이는 쇠붙이의 역사로, 패션 디자이너는 패션으로 역사를 바라볼 것이다. 나무 인문학자 강판권 교수는 나무로 세계사를 읽어나간다. ...

thumbimg

감정이 담긴 단 하나의 옛가구
강진희 기자 2024.11.25
서울에서는 맛볼 수 없는 느긋한 풍경을 간직한 강원도 원주의 한 마을. 뚝딱뚝딱 망치질 소리와 쓱싹쓱싹 톱질 소리가 노래처럼 들려오는 작업실 속에서 김완규 목수가 모습을 드러냈다. 내공이 느껴지는 작품과 달리 고운 외모. 82년생 ...

thumbimg

한국문화유산, 아르헨티나 벤시츠궁을 비추었다
김수정 기자 2024.11.23
한국 전통 공예의 미학이 남미 아르헨티나에서 해사한 자태를 드러냈다. 지난 11월 21일부터 부에노스아이레스 소재의 주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에서는 <초월: 삶, 시간을 넘어 공간을 잇다>를 주제로 전시가 열리고 있다.현지 소식통에 따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