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587건

thumbimg

‘2025 이도도자기 축제’… 한국의 미를 담은 도자기를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는 시간
강진희 기자 2025.04.23
이도도자기가 오는 4월 25일(금)부터 5월 11일(일)까지 ‘2025 이도도자기 축제’를 개최한다. 도자 철학과 공예 정신이 고스란히 담긴 행사는 여주 세라믹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며, 다채로운 프로그램들로 준비되어 있다. 축제 기 ...

thumbimg

조선의 가구, 북유럽의 가구
편집부 2025.04.21
어느 때보다 북유럽 가구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사용자를 배려하면서도 친환경적이어서 심플하면서도 감성적인 공간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취향과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 한국 목가구는 순박한 디자인에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는 심성이 ...

thumbimg

북유럽에서 활동하는 한국 가구디자이너 조규형...‘가능성’의 영역을 그리다
김수정 기자 2025.04.21
조규형은 스톡홀롬 콘스트팍에서 석사괍정 마친 후 현재 독립스튜디오를 운영하며 그래픽, 텍스타일, 가구디자이너이다. 간결한 디자인과 뛰어난 기능성 가구로 세계적인 디자인 매거진 <월페이퍼>의 표지를 장식했고, 각종 디자인 대회에서 수상 ...

thumbimg

코리안 헤리티지 브랜드 <채율>...전통의 명품화를 위한 노력
송은정 기자 2025.04.21
전통의 이름을 빌려 그 무늬와 선을 그럴듯하게 흉내 낸 제품들은 이미 수두룩하다. 소비자들이 더는 전통이라는 콘텐츠에 특별한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다. 이에 맞서 채율은 옻칠과 칠보를 ‘신의 한 수’로 두었다. 장인의 손길을 거친 ...

thumbimg

vvgg 갤러리 개관전 ...공예·아트퍼니처·회화·사진 등 다양한 예술 장르 선보여
강진희 기자 2025.04.18
서울 인사동 중심의 신개념 복합문화공간 ‘그라운드서울(Ground Seoul)’가 새롭게 개관한 갤러리 ‘vvgg’에서 첫 전시가 열린다. 이번 전시는 공예, 아트퍼니처, 회화, 사진, 오브제 등 다양한 예술 장르의 작품들이 어우러져 ...

thumbimg

정명택 개인전 《공간적 사물 Spatial Objects》...사물을 통한 '있음과 없음'의 공간 철학 해석
김수정 기자 2025.04.17
공예 공간 space_be에서는 사물에서 파생하는 시각 파장을 작품에 개입해 공간감을 확장해온 아트퍼니처 작가 정명택의 개인전 《공간적 사물》전이 열리고 있다.아트퍼니처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한 정명택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역사적 공 ...

thumbimg

정명택 개인전 《공간적 사물 Spatial Objects》...미지의 공간을 항해하는 여정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4.17
"나는 컵의 빈 공간과 맞닿은 태초의 은하수로 돌아갑니다.“ 이어령 문학평론가가 죽음을 앞두고 세상에 남긴 편지의 머리글이다. 컵은 물(질)을 담는 기물이지만 채워진 물이 비어졌을 때 잔의 바닥은 우주의 공간과 맞닿는다. 물은 생(生 ...

thumbimg

걷는 손, 잇는 마음 - <2025 우시마도 크래프트 산책>
김수정 기자 2025.04.13
일본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에 위치한 작은 항구 마을 우시마도(牛窓)에서는 <우시마도 크래프트 산책> 축제가 열리고 있다. 이 행사는 1984년부터 1992년까지 이어진 「JAPAN 우시마도 국제예술제」의 정신을 잇는 자리이기도 하다. ...

thumbimg

론 뮤익, 현대인의 외로움, 취약함, 불안감 등을 초월적 존재감으로 드러내
김수정 기자 2025.04.11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김성희)은 현대 조각의 세계적 거장 《론 뮤익》전을 4월 11일부터 7월 13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최한다. 프랑스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과 공동주최하는 전시는 호주 출신 조각가 론 뮤익(b.19 ...

thumbimg

소마미술관 ‘과일과 예술, 상상과 모험이 만나는 체험전시’ 오픈
강진희 기자 2025.04.11
국민체육진흥공단 소마미술관이 오는 4월 11일부터 8월 31일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형 전시 ‘푸룻푸룻 프렌즈: 빠씨를 찾아서’를 개최한다.이번 전시는 과일이라는 일상의 친숙한 소재를 예술로 재해석하고, 상상력과 놀이 ...

thumbimg

전통공방 농암예가...예를 담는 찻상
박신혜 기자 2025.04.07
중요한 건 형식이 아닌 정신이다. 농암 박봉규 선생은 차(茶)를 예로 알고 다도(茶道)를 따른다. 정성으로 빚어내는 찻상은 그만큼 고운 결을 가졌다.36년 전, 농암 선생은 밥상 다리를 나지막하게 잘라 첫 찻상을 만들었다. 차 맛이 ...

thumbimg

북유럽 가구공방 ‘니카리’...가치에서 디자인을 찾다
김수정 기자 2025.04.07
47년 역사를 가진 핀란드 가구 공방 니카리. ‘가구는 자연의 순환 과정’이라고 말하는 이들은 자연과 전통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가구가 아닌 가치를 만들고 있다.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에서 2시간 정도 떨어진 거리에 피스카스(Fis ...

thumbimg

가장 보편적인 쓰임의 나무...레드우드(Red Wood) & 화이트우드(White Wood)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4.07
스칸디나비아 국가인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의 산림은 북구재 침엽수가 지배하고 있다. 단순히 소나무(Pine)이나 단순히 실베스터 파인(Sylvester Pine)이라고 불리는 레드우드(Red Wood)와 유러피언 스프루스(Euro ...

thumbimg

우리 나무, 소나무...한민족 삶의 근간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4.07
- 유라시아를 잇는 으뜸이라는 이름의 나무 ‘솔’(Pinaceae) 소나무는 북유럽과 한국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대표적 수종이다. 조선 유교사회에서는 충절의 상징으로 소나무를 여겼고, 북유럽 국가 역시 자연철학을 근본으로 왕실이 나서 ...

thumbimg

더페이지갤러리, 세계가 주목하는 신진 작가 16인 단체전 '투 블룸 To Bloom' 개최
강진희 기자 2025.04.04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국내외 신진 작가 16인의단체전 이 열렸다. 로이스 로리의 소설 <파랑채집가 Gathering Blue>에서 출발하는 전시는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조건 속에서 자신만의 고유함을 피워내는 작가들의 여정을 알렸 ...

thumbimg

연출력 돋보인 전시, 《적선(積善)하다》_ ‘빛’과 ‘시간’을 매개로 선함을 전하면서 10일간의 전시 마쳐
김수정 기자 2025.04.04
내사(內思)와 좌망(坐亡)의 실천철학이자 사물을 몹시 아끼는 품성을 뜻하는 적선(積善)은 변화하는 삶 속에서 진리를 밝히기 위해 무아의 경지에 들어가는 또 하나의 세계이자 이데아다.사진과 도자를 매개로 펼친 전시 《적선(積善)하다》가 ...

thumbimg

민준홍 개인전 《그럼에도, 풍차는 돌아간다》...도시와 미디어 시대의 불안을 예술로 말하다
강진희 기자 2025.03.26
2GIL29 GALLERY는 2025년 3월 22일부터 4월 19일까지 민준홍 작가의 개인전 《그럼에도, 풍차는 돌아간다》를 개최한다.전시는 도시 공간에서 느껴지는 불안, 미디어 소비의 피로감, 그리고 그 안에서 흔들리는 인간의 감정 ...

thumbimg

웁쓰양 개인전, 《누가 루시를 울렸나The Weeping Woman》...억눌린 감정을 예술적으로 승화
강진희 기자 2025.03.26
‘멍때리기 대회’의 창시자인 화가 웁쓰양의 여섯번째 개인전이 열린다. 현대인의 불안과 우울의 감정을 최초의 여성 인류 ‘루시’의 울음에 투영한 작품은 인간의 억눌린 감정을 예술적으로 해소하고 승화한다.이번 전시에서는 <멍때리기 대회> ...

thumbimg

도예작가 김성철 전시 《적선(積善)하다》...흰 호롱도자를 비추는 자기 불꽃의 선
김수정 2025.03.25
전시 그룹 아엘시즌(AL_SEASON)·일엽편주의 공동 주관으로 성곡미술관 2관에서 한국인의 삶의 철학인 ‘적선(積善)’을 주제로 전시를 개최한다. 《적선(積善)하다_빛으로 그린 어진 마음, 사물을 이루고》는 한국 사진의 정점에 서 ...

thumbimg

사진가 이갑철, 적선(積善)을 해석한 사진전 가져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5.03.24
안동 <농암종택>의 실천 가훈 ‘적선(積善, 선을 쌓다)’은 어진 마음으로 세상을 두루 이롭게 하는 업을 쌓는 일이다. 시간은 흐르고 세상은 변하지만 사람이 행해야 할 보편적 가치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박애와 긍휼의 선을 쉼 없이 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