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제2의 도시 트루쿠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작은 섬 히르반살로에 가면 독특한 모습을 한 예배당을 만날 수 있다. 성 헨리 예배당(St Henry’s Ecumenical Art Chapel)이다. 반드르르 윤이 흐르는 금속성 외관에 뒤집힌 배처럼 뾰족한 아치를 이루고 있는 이 건물은 예배당이라고 짐작할 수 없을 만치 현대적인 모습이다.
이를 위해 건축가는 정문에서 강단까지 앞뒤로 긴 아치형 구조를 설계하고, 건물 끝 강단 쪽에만 유리로 창을 내 은은한 빛이 건물 끝에서부터 후광처럼 쏟아져 나오게 했다. 그래서 건물에 들어온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어두운 입구에서 빛이 있는 강단 쪽으로 걷게 되는데, 이를 통해 건축가는 무지의 상태에서 신을 통해 구원을 얻게 되는 과정을 은유하고자 했다. 물고기 혹은 배를 연상하게 하는 깊고 좁다란 내부 공간은 드라마틱한 느낌을 증폭시킨다. 바깥에서는 누구나 죄인이지만 이 예배당 안에서는 물고기의 뱃속에 갇혀 사흘을 기도했던 요나가 되거나 방주 안에서 간절히 기도했던 노아가 된다.
정서적으로 드라마틱하게 계산된 내부와는 달리 외부는 냉정하리만치 미래적인 느낌으로 꾸며졌다. 건축가는 작은 십자가 하나도 허용하지 않고 건물 전면을 구리 소재의 슁글로 매끈하게 덮어버렸다. 지극히 미니멀리즘의 문법을 따른 구성이다.
하나는 심리적인 안정감이다. 햇빛을 손바닥으로 가린 것처럼 약간 붉은 기운이 도는 색상과 침엽수 특유의 진한 향이 거기 둘러싸인 사람으로 하여금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이다. 예배당 건축으로는 더없는 장점이다.
성 헨리 성당의 또 하나 재미있는 점은 예배당임에도 불구하고 십자가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다. 신도석 맞은편 벽에 보란 듯이 자리하고 있어야 할 십자가는 강단 왼편에 있는 듯 없는 듯 차분히 내려와 있다. 신보다 내면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공간이 되길 바랐던 건축가의 의도다.
성 헨리 예배당은 올해로 지은 지 9년째에 접어들었다. 오래 햇빛을 받은 소나무는 색이 붉어졌고, 구리 지붕은 파랗게 녹이 껴 처음의 생경함을 잃고 주위 풍경에 부드럽게 섞여 들었다. 오늘도 누군가는 이 작은 예배당 안에서 빛을 향해 걷고 있을 테다.
[저작권자ⓒ 우드플래닛 뉴스 프레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독자의견]
공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미국 공예재단 LH프로젝트, 공예인력 국제 교류 및 상호...
편집부 / 21.02.21
라이프
‘고전 예술과 테크의 만남’ - 케이스티파이, 세계 3대 박물관 루브르와 컬래버레...
강진희 / 21.02.15
디자인
고전 예술과 테크의 만남 케이스티파이, 세계 3대 박물관 루브르와 컬래버레이션 컬...
강진희 / 21.02.15
비즈
친환경 페인팅으로 마감한 원목루버, 공공시설과 상업공간에 적용
편집부 / 21.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