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누군가 널 위하여 2020 |
![]() |
▲ 누군가 널 위하여 2020 |
![]() |
▲ 누군가 널 위하여 2020 |
도저히 어찌할 바를 모를 때, 달의 음영에 기대거나, 먹으로 솟아난 산(山)의 몸체에 의지한다. 자연은 대상이면서 동시에 본질로 존재하는 숭고의 매개체이다.
먹으로 채색된 산수화는 풍류의 정서가 강으로 흐르지만, 끊어질 듯한 실로 촘촘히 엮은 산수화는 삶의 떨림을 동여 맨 각고의 일상일 수도 있다.
미술대학에서 섬유예술을 전공했지만 그의 손끝으로 이어지는 실 끝에는 아버지의 그리움이 하염없이 매달려 숲을 이루고 첩첩산중이 되어갔다.
정소윤의 개인전 ‘살아가고 있는 자의 기도’는 제목 그대로 산 자의 불가피한 독백이다. 중첩된 산의 골짜기마다 아버지의 영혼이 죽음보다 깊은 잠으로 조각되어 누워 있고, 그 주위를 돌아가는 모서리마다에는 살아가는 이들의 애도와 상흔들이 옅은 먹이 되어 흐르고 있다.
그가 내민 실타래로 중첩된 먹의 농도는 정자에 걸터앉은 낭만 화가의 산수화가 아닌, 단장의 그리움과 불멸의 통증이 뿌린 가슴 한 곳의 암각화 같은 것이다. 때문에 그의 산수화는 자연에 귀의하는 수도승처럼 공허의 도피처이자 자기 재생의 피난처이다.
![]() |
▲ 안식처2020 |
![]() |
▲ 안식처2020 |
![]() |
▲ 안식처2021 |
타자가 남긴 업보에서 벗어나면서 시작한 정소윤의 신작 ‘안식처’ 시리즈는, 자신을 추스르고 정면을 바라본 정체성이 서서히 꿈틀대고 있다. 가장자리에서 원으로 흘러드는 먹의 계조는 정소윤의 블랙홀을 짓기 위한 전운을 띠고 있다. 아마도 그가 안착할 최후의 그곳은 고요와 평안이 겹겹으로 둘러싸인 적막강산 어디쯤일 것이다.
전시는 1월 12일까지 갤러리도스에서 열린다.
| 정소윤 이화여대 조형예술대학 섬유예술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다수의 단체전과 수상을 거쳐 2021년 1월 첫 개인전을 갤러리도스에서 가졌다.
[저작권자ⓒ 우드플래닛 뉴스 프레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독자의견]
비즈
친환경 페인팅으로 마감한 원목루버, 공공시설과 상업공간에 적용
편집부 / 21.01.20
공예
금속공예가 이상협 개인전 <FLOW>, 담금질과 두드림 후의 사물 미학...
편집부 / 21.01.18
디자인
신예 디자이너 ‘구아현’, 틈의 관계성을 가구에 접목하다
육상수 / 21.01.05